통영해경, 해양재난구조대와 함께

’25.1.3. 해양재난구조대법 시행으로 민・관 협력체계의 비약적인 발전 기대

김원창 | 기사입력 2025/01/03 [17:07]

통영해경, 해양재난구조대와 함께

’25.1.3. 해양재난구조대법 시행으로 민・관 협력체계의 비약적인 발전 기대

김원창 | 입력 : 2025/01/03 [17:07]

 

 

통영해양경찰서(서장 이상인)는 민간 구조세력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체계적인 관리와 지원을 위해 제정한 해양재난구조대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법률(약칭: 해양재난구조대법)202513일 시행된다고 밝혔다.

 

기존 민간해양구조대원은 1997년 통영에서부터 지역 해역에 정통한 어민 등 지역인들의 협조를 얻어 조직된 자율봉사단체로서 이후 전국 확대되어 2012민간해양구조대원이라는 명칭으로 활동해왔다.

 

해양재난구조대원(기존 민간해양구조대원)은 최근 5(’20~’24) 통영 관내 해양 조난사고에서 이들 민간 구조세력에 의한 구조율이 약 47%에 달하고 있어 그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해양재난구조대법 시행으로 해양재난구조대는 명확한 법적 근거에 기반하여 민관 협력체계가 한층 더 공고해지는 전환점을 맞이할 것이라고해양경찰 관계자는 설명했다.

 

해양경찰은 해양재난구조대에 대한 국민적 관심에 힘입어 다양한 분야의우수인력을 지속 모집하여 인력풀을 확충하고, 체계적인 교육훈련을 통한 전문성 강화, 단체 피복 지급 및 포상 기회 확대와 같은 사기진작 방안 추진등 민간의 구조 참여를 활성화하는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해양경찰은 해양재난구조대법 시행에 맞춰 수난구호 참여 수당 기준을 최저임금에서 선원최저임금 수준으로 상향 조정*하는 개정 수상구조법 시행규칙도 같은날 시행됨으로써 민간의 구조활동 참여 동기를 높이는 한편, 조업손실에대한보전도 강화할 계획이다.

* 2025년 기준(8시간) 최저임금 80,240선원최저임금 87,160(8.6% 상향)

 

통영해양경찰서장은 “202513일부터 해양재난구조대의 출범으로 해양재난구조대 법령이 조기에 안정적으로 시행될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해나가며, 통영해양경찰서 소속 해양재난구조대원들 스스로가 자긍심을 가지며 구조 활동 참여를 하며동기부여와 책임감이 생겨 안전한 바다 환경 조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강조했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